나머지는 여기에

딩동~ 인구조사를 위해 방문했습니다.

프리온라인 2005. 10. 29. 03:45
2005년 10월 26일 (수) 09:50   국정브리핑
"나라 미래 설계 인구주택 총조사 적극 협조를"
지난 11월21일부터 강남, 삼성, 신촌 등 각 지역에 나타난 미스터리 가족 '누리셈'. 인구주택총조사에 대한 홍보 이벤트로 시민들의 관심을 높였다.


딩~동, 딩~동.
"누구세요?"
"인구주택총조사를 위해 방문했습니다"
"진짜인지 어떻게 확인하지요"
"(목에 걸린 신분증을 보여주며)여기 ^^; "

21세기 들어 처음으로 실시되는 인구주택총조사 시기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관련기관에 조사요원 식별에 관한 문의가 인터넷, 전화상으로 잇따르고 있다.

방문 조사원 신분증 등 착용…식별 쉬워

혹시 조사요원을 사칭한 도둑이면 어떻하냐는 것. 통계청은 그러나 "조사요원들은 통계기관이 발급한 신분증을 목에 착용하고 동일한 색상과 모양의 가방을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금방 식별이 가능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통계청 인구조사과 안병건 사무관은 “어떤 분들은 조사내용이 유출되지 않을까 의심하기도 한다”면서 “개인정보 비밀보호를 위해 신분이 확실한 사람을 조사원으로 임명해 서약과 함께 철저한 교육을 실시했기 때문에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혹시 개인신상정보와 관련된 주민등록번호나 은행계좌번호를 묻는 조사요원이 있다면 바로 신고를 해주기 바란다”며 “이번 조사내용에는 이같은 조사항목이 없다”고 밝혔다.

2005 인구주택총조사 요원들은 특별히 부여된 신분증과 동일한 색상과 모양의 가방을 소지하고 있어 식별이 간단하다.
◆ 조사는 10~15분이면 끝나

"귀찮은데 그런 조사 꼭 해야 되나요"

조사 자체를 귀찮아 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수조사의 경우 조사항목은 21개, 조사시간은 길어봐야 15분을 넘지 않는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전체 조사대상 1600만 가구 중 10%를 무작위 추출해 실시하는 표본조사의 경우도 44개 항목에 많이 잡아도 35분 이내에 끝난다.

조사시간 15분 안 넘겨

인구주택총조사는 국민 각자가 국가의 정책을 입안하고 나라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 직접 참여하는 기회이기 때문에 이 정도 수고는 아무것도 아닌 셈이다.

지난 2000년 조사에 이어 이번에 두번째 조사요원으로 참가하는 여군자 씨(38, 서울 마포구)는 “여러분이 사는 지역에 자녀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시설이나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시설 등이 들어서기 위해서는 이 조사에 꼭 참여해야 한다”며 “조사요원이 방문하면 반갑게 맞아달라”고 부탁했다.

◆ 어떻게 진행되나

인구주택총조사는 전국의 인구, 가구, 주택을 모두 파악하기 위해 5년에 한번씩 실시하는 조사로, 올해에는 11월1일부터 보름간 실시된다.

까다로운 심사를 통해 선발된 조사요원 10만여명이 1600만가구를 직접 방문해 21개 항목(전수조사)에 대해 면접 또는 응답자 직접 기입방식으로 조사가 진행된다.

인터넷 조사도 새로 도입

이번 총조사가 이전과 다른 점은 인터넷 조사방식을 새로 도입했다는 것. 맞벌이 부부나 1인 가구, 젊은 층 등과 같이 조사원의 면접조사가 어려운 계층을 위해 e-census가 실시된다.

인터넷 조사는 이달 29일부터 내달 7일까지 본인이 직접 신청하고 11월1일부터 10일까지 10일 내에 인터넷상에서 신청 아이디를 이용해 조사표를 작성하면 된다.

◆ 조사결과 어떻게 쓰이나

인구주택총조사는 방대한 조사의 집대성인 만큼 결과 집계 및 공표 기간도 2005년 1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장장 13개월이 소요된다. 잠정집계 결과는 올 연말에, 전수집계 결과는 2006년 5월과 7월, 표본집계 결과는 2006년 9월, 11월, 12월 등 모두 6차례에 걸쳐 발표된다.

총조사의 결과는 △고용구조 및 인력 대책 △주택정책 △국토건설종합계획 △아동·노인 복지정책 △고용보험 개발 △병역자원예측 △농어촌 구조개선 △여성복지정책 △시도별 주택건설계획 △중소기업 육성시책 △대도시 교통망 건설계획 등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경제, 사회발전 계획 수립에 활용된다.

특히 통계청은 이번 조사를 통해 급변하는 저출산·고령화, 청소년실업, 빈곤층, 이혼율 등과 같은 사회현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관련정책 입안시 활용토록 할 계획이다.